Backend/Internet

도메인네임이란?

비망노트 2022. 12. 28. 11:21

📌  도메인네임이란?

IP주소를 문자로 알아보기 쉽게 만든 인터넷상의 주소

 

특정 서버의 IP(숫자덩어리)를 외워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기때문에 영문,숫자등을 사용해 기억하기 쉽게 이름을 붙인것으로 이메일 주소의 @ 혹은 www뒤에 표시되는 고유한 이름이다.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도메인 레지스트리 : 최상위 도메인에 등록된 모든 도메인네임의 데이터베이스


 

📌 도메인네임의 구조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으며, Root - TLD - SLD - SUB (도메인 이름) 순이다.

www는 호스트명이다. SLD는 생략될 수 있다.


1. Root: 가장 최상위, 실제로 주소엔 . 이 있으나, 생략된 형태로 사용해도 무방함


2. TLD (Top-Level Domain, 최상위 도메인): 도메인 레벨 중에 가장 높은 단계에 있는 도메인으로, 도메인의 목적, 종류, 국가를 나타낸다


3. SLD (Second-Level Domain, 차상위 도메인): "www.google.com"처럼 SLD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고, "www.naver.com"처럼 SLD가 존재하지 않고 TLD에서 바로 도메인 이름으로 건너뛰는 경우도 있음


4. SUB (도메인 이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사이트의 이름, google, naver, daum 등이 도메인 이름 부분


5. www (World Wide Web): 도메인 네임에 포함되지 않는 호스트명

 

 

📍 TLD의 세분화

gTLD : 일반 최상위 도메인

ccTLD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New gTLD : 기존 gTLD이외에 새롭게 추가된 도메인형태로 .news, .info등 기존 gTLD의 수량적한계로 탄생한 새로운 gTLD

 

📍 SLD의 세분화

.biz : 사업
.com : commercial(광고)를 의미하므로 co.com 이렇게 쓸필요는 없음
.co. 영리 목적의 단체, 기업체
.edu : 미국의 4년제 이상 교육기관
.info : 정보 관련
.jobs : 취업 관련 사이트
.name : 개인 사용자
.net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org : 비영리 기관

 

SLD는 쓸수도있고 생략할수도있으므로 "www.google.co.kr"처럼 3단계일수도있고 "www.naver.com"처럼 2단계구조가 될수도있다.

 

ː

 

아래 주소는 둘다 구글을 가리키는데 각각 몇단계 구조로 이루어져있는지 살펴보자

https://www.google.com

https://www.google.co.kr

 

www . google . com 

이 중 www.의 경우 도메인네임에 포함되지않는 "호스트네임" 이다.

따라서 "www.google.com"의 경우 2단계도메인네임으로 이루어져있는것이다.

com : 최상위도메인 / google. : 도메인네임을 등록한사람이 지정한이름

 

www . google . co . kr

이 주소 또한 같은 구글의 주소이지만 차이점은 com과 co.kr이다.

첫번째주소의 경우 최상위도메인(.com & .net & .org등)인 .com을 사용한것이고

두번째주소의 경우 국가정책에 따른 국가 최상위 도메인을 사용한것이다. 

kr : 국가도메인 / co : 도메인의 성격 / google : 도메인네임을 등록한사람이 지정한이름

 

 

서로 다른 집이 같은 주소를 가질 수 없듯이 도메인 역시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하므로

도메인네임이라는 규칙이 존재하게된 것이고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 및 생성이 불가능하다.

모든 도메인은 Root도메인(최상위도메인)과 이하에 역트리구조를 가진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 도메인네임 규칙

1. 도메인이름의 구성요소는 레이블(label)과 '.' 이다.
2. 레이블에 쓸 수 있는 글자   - 영어 알파벳 ([A-Z], [a-z])   - 숫자 ([0-9])   - 하이픈 ([-])   - 한글 ([한글 글자마디 11,172 자])
3. 레이블은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으며,   - 영어 알파벳의 대소문자 구별은 없다.
4. 레이블의 길이   - 레이블의 길이는 2자 이상, 63자 이하이며,   - 한글이 포함된 레이블은 17자 이하이어야 한다.

 

 

 

 

 

 

 

- 참고페이지

https://namaniflow.tistory.com/64#2.%20%EC%B6%9C%EC%B2%98

https://jonghyuck.tistory.com/21

https://mesajang.tistory.com/95

'Backend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의 개념과 작동원리  (0) 2022.12.25
웹 브라우저의 작동원리  (0) 2022.12.08
HTTP  (0) 2022.09.17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0) 2022.09.04
TCP/IP  (0)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