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Programmers(Java)

[프로그래머스/Lv.1] 체육복

비망노트 2023. 1. 20. 20:20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lost reserve return
5 [2, 4] [1, 3, 5] 5
5 [2, 4] [3] 4
3 [3] [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풀이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int result = 0;
        
        Arrays.sort(lost);
        Arrays.sort(reserve);
        
        Map<Integer,Boolean> map = new HashMap<Integer,Boolean>();
        for(int i=0;i<lost.length;i++){
            map.put(lost[i],true);
        }
        for(int i=0;i<reserve.length;i++){
            if(map.get(reserve[i])!=null){
                map.put(reserve[i],false);
                result++;
            }
        }
        
        int cnt = 0;
        int k = 0;
        for(int i=0;i<lost.length;i++) {
            if(map.get(lost[i])==true) {
                int j = k;
                while(j<reserve.length) { 
                    if((lost[i]==reserve[j]-1 || lost[i]==reserve[j]+1) && map.get(reserve[j])==null) {
                        k = j+1;
                        cnt++;
                        break;
                    }
                    j++;
                }
            }
        }
        result += n-lost.length+cnt;
        return result;
    }
}

 

첫 계획은 lost와 reserve 배열을 모두 정렬한 뒤 2중 for문을 반복시키며 전체탐색으로 각 배열의 값을 비교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했고 주어진 예제 1,2,3번을 모두 통과한뒤 제출했지만 테스트케이스 곳곳에서 통과하지못했고 문제를 다시 꼼꼼히 읽어보았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여벌이 있는 학생이 도난당했을 경우를 가정하지 않았다.

 

위의 제한사항때문에 체육복을 잃어버렸지만 여벌을 가져왔으므로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학생을 식별하기 위해 map을 사용했다.

lost배열을 돌며 Integer,Boolean을 제네릭스로 사용하는 map을 만들어 잃어버린학생의 번호와 true를 할당한다.

이후 reserve배열을 돌며 map에 해당학생의 번호가 있을경우 false를 할당한다.

5, [2,3,5], [2,4] 를 넣어 테스트해본다면 2번학생은 체육복을 잃어버렸지만 여분이있기때문에 true가 아닌 false가 된다.

map에 들어있는 값을 출력해보면 아래와 같다.

for(Map.Entry<Integer, Boolean> temp : map.entrySet()) {
    System.out.println("잃어버린 학생 : "+temp.getKey()+" 도움이필요함 "+temp.getValue());
}
/* output
잃어버린 학생 : 2 도움이필요한가 : false
잃어버린 학생 : 3 도움이필요한가 : true
잃어버린 학생 : 5 도움이필요한가 : true
*/

 

여기까지 map을 만들었다면 다시 lost배열 전체를 돌며 체육복을 빌릴 수 있는 총 인원수를 구해야한다.

int cnt = 0;
int k = 0;
for(int i=0;i<lost.length;i++) {    // 2,3,5
    if(map.get(lost[i])) {
        System.out.println("도움이 필요한 아이들 : "+lost[i]);
        int j = k;
        while(j<reserve.length) {        // 2,4
            if((lost[i]==reserve[j]-1 || lost[i]==reserve[j]+1) && map.get(reserve[j])==null) {
                System.out.println("여분준애 : "+reserve[j]+" 받은애 : "+lost[i]);
                cnt++;
                k = j+1;
                break;
            }
            j++;
        }
    }
}
/* output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 : 3
여분준애 : 4 받은애 : 3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 : 5
*/

lost 배열을 돌며 lost의 각 원소를 key로 하여 map의 value를 가져온다.

lost[0] 은 2 이므로 map에 이전과정을 거쳐 2의 value는 false가 들어있으므로 if문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다음 lost[1]은 2,3,5 중 3이며 map에서 3의 value는 true이므로 도움이 필요하다. if문으로 들어가보자

 

while문에서 j를 증가시키며 reserve[j] 학생이 도움을 줄 수 있다면 cnt를 증가시키는데

여기서 reserve[j]를  map의 key로 넣었을때 null이 나와야한다. map에 key가 존재한다는것은

체육복을 도난당했다는 말과 같으므로 map에 null이 아니라면 도움을 줄 수 없는 학생이기때문이다.

때문에 if 조건문에 해당조건을 추가해준뒤 cnt를 증가시키며 j의 위치를 설정하기위해 임시변수 k의 값을 j+1로 설정해준다.

변수가 많아지는게 지저분해지는것같다면

map.put(reserve[j], false); // or true
cnt++;

이렇게 cnt를 증가시키는 코드실행블럭에 map을 재할당해도 무방하다.

k로 j의 위치를 초기화해주지 않거나 map에 재할당하는 과정을 생략하게 된다면

reserve[1]이 즉 4번학생이 3번과 5번 모두 빌려주게되므로 코드를 추가해주었다.

 

끝까지 반복하게되면 5번학생은 도움이 필요하지만 k를 사용해 체육복을 빌려주었다면

j에 1을 더해 위치를 변경해주었으므로 5번학생을 체육복을 빌리지못하게되며 총 4명의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게된다.

 

 

 

이번문제는 주어지는 데이터가 많지않아 정렬코드를 직접구현하니 Arrays.sort보다 속도가 훨씬빨랐다.

또 쉽게 생각했다가 테스트케이스 한두곳에서 자꾸 통과하지 못하는바람에 생각보다 오래걸렸던 문제였다..

 

 

 

 

 

 

-출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62